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비자심리지수란 무엇인가?

by 카피바라2 2025. 3. 6.
반응형
 

카피바라2

잡다한 이야기

capybara2.tistory.com

소비자심리지수 (CCSI)

소비자심리지수(Consumer Composite Sentiment Index, CCSI)는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소비자 심리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현재 생활형편, 생활형편 전망, 가계 수입 전망, 소비 지출 전망, 현재 경기 판단, 향후 경기 전망 등 총 6개의 주요 개별 지수를 표준화하여 합성한 지수입니다.

주요 내용

  • 조사 기관: 한국은행
  • 조사 대상: 매월 전국 2,200가구
  • 조사 시작: 2005년부터 편제 및 공표
  • 조사 주기: 2008년 9월부터 분기 조사에서 월 조사로 전환

지수 산출 방법

  1. 개별 지수의 표준화: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등, 6개의 개별 지수를 표준화하여 합산합니다.
  2. 재조정: 산출된 지수를 다시 표준화하여 소비자심리지수의 장기 평균이 100, 장기 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조정합니다.
  3. 기준 연도: 2016년을 기준으로 하며, 표준화 구간은 2003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입니다.

소비자심리지수 100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의 장기 평균을 의미하며, 2016년의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가 체감하는 경기 상황이 더 낙관적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2016년 7월에서 9월까지 소비자심리지수는 각각 100.9, 101.8, 101.7로 나타났습니다.

조사 항목

소비자동향조사의 조사항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경제 인식
  • 경제 전망
  • 소비 지출 전망
  • 가계 저축 및 부채
  • 물가 전망

이 항목들을 통해 총 17개의 개별 소비자동향지수가 산출됩니다. 이들 지수는 현재 생활형편, 현재 경기 판단, 생활형편 전망, 향후 경기 전망, 취업 기회 전망, 금리 수준 전망, 가계 수입 전망, 소비 지출 전망, 현재 가계 저축, 가계 저축 전망, 현재 가계 부채, 가계 부채 전망, 물가 수준 전망, 주택 가격 전망, 임금 수준 전망, 물가 인식, 기대 인플레이션 등을 포함합니다.

결론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들의 경제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여 경제 상황을 평가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정부와 기업은 보다 나은 정책과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